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미호뎐193825

섬네일05 시니가미 (死神); 일본의 사신은 어떤 모습일까? 구미호뎐1938 신화나 전설에 반드시 등장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죽음으로 인도하는 신. 사신(死神)입니다. 일본 역시 이런 사신(死神)의 이미지를 가진 미지의 존재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시니가미. 오늘은 일본의 사신(死神) 시니가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일본에서의 시니가미(死神) 사신은 어떤 문화권에나 존재하며 주로 죽음으로 안내하거나 혹은 죽음자체를 관장하는 이미지를 가지지만 그 외 세부적인 설명이나 묘사들은 문화마다 조금씩 다른 차이를 보입니다. 일본에서의 사신은 시니가미라고 발음되며, 한자표기는 우리와 동일하게 죽을 사, 와 신 신을 사용하여 死神로 표기합니다. 일본의 시니가미는 주로 일본 내 불교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간을 죽고 싶게 만드는 마물로 표현되어왔습니다. 일종의 귀신처럼 묘사되는 경우도 많은데 .. 2023. 5. 28.
섬네일05 지옥시왕 중 오도전륜대왕은 누구일까? - 구미호뎐 1938 구미호뎐 시리즈 시즌1에서부터 간간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지옥시왕 오도전륜대왕, 시즌1에서는 신묘한 주머니를 들고 와서 장사하던 점쟁이 흉내를 내더니 시즌2에서는 본격적으로 오도전륜대왕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습니다. 1. 불교의 지옥을 관장하는 지옥신들 오도전륜대왕은 불교에서 말하는 지옥을 설명할대 등장하는 지옥을 다스리는 10명의 신들 중 한 명입니다. 우리에게는 이미 신과 함께라는 영화를 통해 어느 정도 익숙해진 지옥에 대한 설명으로 구미호뎐에서도 이 지옥시왕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간간이 나오고 있는데 그중 인지도가 가장 높은 제5지옥의 염라대왕은 탈의파의 남매로 이름만 자주 등장하는 것에 반해 아예 본체가 등장하는 이가 있으니 그가 바로 오도전륜대왕입니다. 오도전륜대왕은 지옥들 중 10번째인 흑암지옥.. 2023. 5. 26.
섬네일05 피와 살을 먹고 자란 나무 두두리(豆豆里), 혹은 두두을 우리나라에서 전승되는 여러 신들 중 아직까지도 여러 이야기가 정립되지 않은 채 설만 무성한 것 중 하나인 두두리, 혹은 두두를, 오늘은 이 두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두두리의 유래 두두리에 대해 전해지는 것 중 이견없이 하나로 모아지는 공통적인 이야기는 이 두두리가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전해져내려 오던 민간신앙의 하나라는 점입니다. 민간신앙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두두리가 불교나 도교등의 종료에 의해 규정된 신이 아닌 토템이나 샤먼에 가까웠기 때문입니다. 두드리는 나무에 깃든 목신으로 전해져 내려오는데 명칭은 목신 혹은 목랑이라고 하며 이름도 지역에 따라 두두리, 혹은 두두을처럼 조금씩 다르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중국이나 일본에도 나무에 깃든 신들을 모시는 풍습이 있었지만.. 2023. 5. 25.
섬네일05 텐구(天狗); 하늘을 나는 솔개, 혹은 개의 모습을 한 악마 - 구미호뎐1938 구미호뎐 1938에 등장하는 가토 류이치의 본래 본체가 구미호뎐 1938의 공식홈페이지에 드디어 등장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예상하셨던 대로 주인공은 바로 텐구, 카파와 함께 일본 내에서도 인지도가 가장 높은 일본요괴입니다. 1. 하늘을 나는 개 혹은 악마 텐구(天狗) 텐구(天狗)는 한문 그대로를 해석한다면 하늘의 개입니다. 하지만 여러 일본의 문헌들에 따르면 하늘을 나는 개가 아니라 개의 모습을 한 새의 형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텐구(天狗)의 원형을 새의 한 종류인 솔개에서 찾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실제 텐구(天狗)는 일본 내에서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역사를 가지는 요괴의 이름이니만큼 그 원형이 무엇이다라고 규정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지지를.. 2023. 5. 24.
섬네일05 장산범 니가 왜 1983년에? 구미호뎐1938 ep.6 구미호뎐 1983에 드디어 그가 나왔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하다는 요괴 중 하나인 장산범, 하지만 이제까지 장산범에 대해 알려진 이야기에 따르면, 장산범은 1938년과는 좀 어울리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왜일까요? 1. 장산범은 도시괴담 일단, 장산범은 부산광역시 장산에 살고 있다는 하얀 털이 긴 범을 닮을 괴물로, 유인하고자 하는 대상이 찾는 것의 소리를 흉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산에서 길을 잃고 있으면 아는 목소리가 자신을 어딘가로 부르는데 그것이 있는 곳에는 내가 찾는 것이 아닌 장산범이 있었다는 이야기, 어디선가 들어본 것도 같고 흔한 전설의 고향 클리셰 같기도 한 이 이야기가 장산범의 주요 스토리인데 사실 이 장산범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도시전설이라는 것도 장산범의 이름만큼.. 2023. 5. 23.
섬네일05 북두칠성의 의미, 아이의 북두칠성은 복일까? 아닐까? 구미호뎐1938 ep.5 북두칠성은 오랜 시간 전부터 동서양의 문화차이를 막론하고 인간에게 가장 잘 알려진 별자리이자 가장 많은 이야기를 가진 별자리로 알려져 왔습니다. 구미호뎐 1938에 등장하는 아이가 가졌던 북두칠성은 그중 어떤 이야기일까요? 1. 별자리 중 가장 유명한 이름 북두칠성 나라의 이름을 막론하고 하들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곳이라면 그 어디나 북두칠성에 대한 이야기 하나는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가 없을 정도로 북두칠성은 가장 유명한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다만 서양문화에 비해 특히 아시아국가들에서 이 별자리에 대한 설화나 구전들이 더 많은 편으로 북두칠성에 관련한 이야기들은 중국 와 한국, 일본 이외에도 이집트나, 러시아등 다소 의외인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밤하늘의 별자리 중 가장 찾기 쉽다는 카시오페.. 2023.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