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의 인신공양 풍습 '히토바시라' - 인간으로 기둥을?

by 팅팅가팅가 2024. 6. 1.
반응형

히토바라시 섬네일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던 주술적 믿음

무언가를 바라는 마음, 그리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무엇인가를 재물로 바치며 신께 기도하는 인류의 의식이나 모습은 사실 그 어느 곳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모습으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과학의 발전, 문명의 현대화등으로 현재는 이런 바람들을 기도나 기원 정도로 갈음하지만, 신에 대한 의지와 믿음이 훨씬 더 강하고 다채로운 모습으로 존재했던 이전의 시대에서는 다소 무모한 시도 역시 존재했으니 그런 유형의 기원 중 하나가 바로 인신공양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문화에서 존재했으며 어쩌면 지금도 어느 곳에 선가는 무언가의 전통에 따라 혹은 비합법적 방법인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을지 모를 인신공양 중 일본에서 존재했던 인신공향이 바로 '히토바시라'라고 불렸던 인주(人柱), 인간기둥입니다.

반응형

히토바시라(ひとばしら)란?

히토바시라(ひとばしら)는 일본에서 행해졌던 안전기원을 위한 풍습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규모가 큰 건축을 해야하는 상황인 경우, 예를 들면 다리나 제방, 성이나 부두 시설들을 구축할 때 이 시설물이 완공까지 안전하게 완성되도록 기원하거나 혹은 혹시 모를 자연재해로 인해 공사기간 중 피해를 입는 일, 그것도 아니라면 적군의 공격을 받아 완성하지 못하는 경우 등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사를 하는 건축물의 일부 혹은 그 근방에 살아있는 사람을 재물로 한 기둥을 세웠던 행위를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안전하게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산 인간을 그대로 생매장하여 인간기둥으로 활용하거나 혹은 제단을 만들어 이를 기원하는 제물로 삼는 등의 행위를 히토바라시(ひとばしら)라고 불렀습니다.

 

일본에서 행해진 유사한 행위들을 일러 칭하는 용어가 히토바라시(ひとばしら)일 뿐 사실 이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여러 인신공양 형태들이 전 세계적으로 존재했거나 혹은 기록으로 남아있기도 합니다.

 

다양한 형태의 히토바라시(ひとばしら)

사실 인간기둥이라는 의미의 히토바라시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는 위와 같지만 그 외에도 인기둥이라고 불리는 형태는 일본 내에서 꽤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앞서 언급한 히토바라시는 성공적인 건축물을 위한 재물로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제사나 의식으로 볼 수 있지만 불의의 사고로 건축물을 만드는 도중 노동자가 사망하는 경우 해당 노동자의 위령제를 겸해 진행하고 이를 인기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으며 유사한 형태로 이런 사고로 사망한 노동장들을 위한 위령비를 인근에 세우도 이를 일러 인기둥으로 부르는 등 이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일본 내의 지역에 따라 존재하고 있습니다.

 

실제 일본에서는 여러 곳에서 이런 히토바라시에 대한 흔적들을 찾을 수 있는데 가장 잘 알려진 히토바라시는 바로 니카타현의 조에츠시에 취치하고 있는 원숭이 공양사 마을의 히토가라시로 실제 해당 지역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뼈가 앉아있는 형태로 발견되면서 사실로 밝혀진 히토바라시의 대표적인 예로 언급되곤 합니다.

 

그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지역에서 전설과 전승 가끔은 실제 인체의 뼈가 출토되며 일본 전역에서 이 히토바라시와 관련한 풍습은 꽤 오랫동안 시행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024.03.22 - [먹고 노는 이야기] - 무라사마 검 뜻 알아보기 - Muramasa

 

무라사마 검 뜻 알아보기 - Muramasa

무협지나 판타지 소설, 혹은 게임을 하다 보면 종종 보게 되는 아이템 중 무라사마의 검이라는 아이템이 있습니다. 이름만 딱 들어도 일본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 이 검. 왜 게임이나 판타지 소

sometimesjustplay.tistory.com

2024.03.03 - [먹고 노는 이야기] - 파묘 다이묘 오니 실존한다? - 고니시 유키나가 혹은 안도코쿠지 예케이

 

파묘 다이묘 오니 실존한다? - 고니시 유키나가 혹은 안도코쿠지 예케이

파묘에는 우리나라 외에도 일본의 요괴들이나 전설들이 모티브가 된 대상들이 다양하게 등장합니다. 이 중 일부는 우리가 이미 여러 번 다른 이야기들을 통해 들었던 이야기이기도 하고 또 어

sometimesjustpla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