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28일 후'에 등장하는 분노 바이러스, 가능성 있을까?

by 팅팅가팅가 2025. 3. 25.
반응형

28일후 섬네일

 

영화 28일 후, 좀비가 달라졌다.

2002년에 개봉했던 대니보일 감독의 영화 '28일 후'는 '분노 바이러스'로 인해 좀비가 된 인류라는 조금 다른 형태의 좀비물을 만들어 개봉 당시 꽤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리고 2025년, 무려 20여 년이 지난 후, 이 영화는 속편으로 '28년 후'라는 제목으로 다시 돌아올 예정입니다.

공식적인 영화 '28일 후'의 속편으로 이후 공개된 2007년 작인 '28주 후'에 이어 좀 더 길어진 주기로 이어지는 작품으로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테마로 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아마도 '28주 후'에도 이 분노 바이러스에 등장했던 것을 고려하면 이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테마로 이 바이러스가 다루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그렇다면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일명 '분노 바이러스'는 사실성이 있는 이야기일까요?

 

실제로 분노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존재하는가?

사실 명확하게 아직까지는 의학적으로 분노 자체를 불러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바이러스를 찾아보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 자체가 분노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도 감염이 일어나면 신경계통에 이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는 짜증이나 분노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현재도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인간에게도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광견병입니다.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광견병

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 즉 Rabies virus에 의해 발병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타액을 통해 전염이 이루어지거나 상처, 상처의 접촉들이 주로 전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광견병에 감염되는 경우 바이러스는 신경계로 침투하게 되고, 다시 뇌로 이동하여 뇌 및 척수 등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결과적으로 초기에는 두통이나 발열 등의 일반적인 증상을 보이다가, 점차 분노, 공격적 태도 등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 현상이 영화 28일 시리즈의 분노 바이러스와 유사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신경계 이상을 일으키는 것이 광견병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뇌염이나 일부 독감등도 바이러스 등에 의해 전염되며 최귽 전 세계를 고통 속에 몰아넣었던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도 일명 브레인 포그라고 하는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이나 짜증, 불안등의 증상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알려져 유사한 경우는 꽤 많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영화의 뒷 이야기인 '28일 후: 애프터매스'에서 밝혀진것처럼 이 바이러스들이 에어졸 형태로 개발되어 실제 감염을 일으킨다거나 하는 경우는 실제 구현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현실에서는 이와 유사한 경우를 찾아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2025.01.16 - [먹고 노는 이야기] - 넷플릭스 캐셔로 원작 웹툰 캐셔로의 결말은?

 

넷플릭스 캐셔로 원작 웹툰 캐셔로의 결말은?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매년 수십 개의 드라마와 영화들이 공개되고 개봉되는 방송계.최근의 트랜드는 이미 어느 정도의 작품력을 인정받고 인기 요소들을 검증받은 소설이나 웹툰을 바탕으로

sometimesjustplay.tistory.com

2024.11.21 - [먹고 노는 이야기] - 영화<그리고 베를린에서>, 하시디즘? 혹은 하시딤이란?

 

영화<그리고 베를린에서>, 하시디즘? 혹은 하시딤이란?

영화 에 등장하는 종교는 무엇일까?영화들 중에는 단순히 무료한 시간을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재미를 위해 만들어지는 작품들도 많지만 그에 못지않게 작품 내에 사회적 문제와 이를 위한 관

sometimesjustpla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