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설 동조자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왜 1인 4역일까?

by 팅팅가팅가 2024. 6. 9.
반응형

현재 미국 HBO에서 방영 중이며 한국에서는 쿠팡플레이에서 공개되고 있는 박찬욱 감독의 새 TV쇼, 동조자, 영문제목 'The Sympathizer'은 베트남계 미국인 작가인 비엣 응우엔 타이엔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베트남전 직후 활동했던 베트남과 미국의 이중간첩 '대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등장, 매우 인상적이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을 맡고 있는 호아 쉬안데로 호주계 베트남인으로 일정 부분 배역에 잘 어울리는 출신을 가진 배우입니다.

아직 대한민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이지만 영화를 좋아하는 영화팬들이나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는 2021년에 만들어졌던 카우보이비밥 실사판에 등장하던 린의 역할로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주인공인 호아 쉬안데가 상대적으로 전 세계적인 인지도는 높지 않은 배우인 것에 반해,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인지도를 씹어먹는 인물은 따로 존재합니다. 바로 우리에게도 너무 잘 알려진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입니다.

반응형

로다주 이미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1인 4역

드라마 동조자에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다소 파격적인 연기를 합니다.

1인 4역의 배역을 하는 것인데 이 배역들이 모두 각각 독립된 캐릭터로 존재합니다.

보통 1인 2역 이상의 인물을 한명의 배우가 연기하는 경우 대게는 그 모두가 같은 인물이거나 혹은 동일한 외양을 가진 쌍둥이, 혹은 SF시리즈의 클론인 경우가 대부분.

 

하지만 이 작품에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하는 1인 4역의 인물은 모두 각각 다른 인격과 존재로 등장합니다.

모두 나름의 특징과 캐릭터를 가진 인물을 한 명의 배우가 연기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부분이기도 하지만 실제 이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1인 다역의 모습은 외모만 보았을 때 같은 인물이라로 생각하기 힘들 정로도 독립된 모습들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연출을 했던 박찬욱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에게 1인 4역을 준 것은 일종의 관점을 적용한 모습으로 볼 수 있을 듯합니다.

 

왜 1인 4 역일까?

이 이야기를 끌고 가고 있는 '대위'의 입장에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하고 있는 4인 (위 이미지의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대로,  CIA요원 클로드, 영화감독 니코스 다미아노스, 해머교수, 미 하원의원 네드 고드윈)은 모두 다른 사람이지만 같은 존재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다소 파격적인 캐스팅을 한 것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당시 베트남 출신의 스파이로 활동하고 있던 '대위'의 입장에서는 미국사회를 구성하고 있던 그 어떤 층의 인물도 모두 본질적으로는 비슷한 존재라는 점을 부각시기키 위한 일종의 극단적인 연출인 셈입니다.

 

오랜만에 만나는 박찬욱 감독의 작품이면서 동시에 우리에게 익숙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쿠팡플레이의 동조자를 즐겨보시는 것도 매우 즐거운 경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4.05.10 - [먹고 노는 이야기] - 드라마 ⟪블랙아웃⟫의 원작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결말은 어떻게 될까?

 

드라마 ⟪블랙아웃⟫의 원작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결말은 어떻게 될까?

2024년 하반기에 모습을 드러낼 드라마 ⟪블랙아웃⟫은 독일의 작가 넬레 노이하우스의 작품인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이라는 작품을 원작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이야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

sometimesjustplay.tistory.com

2024.04.30 - [먹고 노는 이야기] - 드라마 '새벽 두 시의 신데렐라' 원작, 결말등은?

 

드라마 '새벽 두 시의 신데렐라' 원작, 결말등은?

'새벽 두 시의 신데렐라'는 네이버 웹소설을 통해 소개된 작품으로 이후 웹툰으로도 제작되었던 작품입니다.  그리고 이 작품은 2024년 하반기 어느 달 즈음의 방송을 목표로 JTBC에서 드라마화에

sometimesjustpla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