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개봉을 앞두고 있는 영화 중에는 할리우드의 명 배우 톰 행크스 주연의 작품 <Here>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이 작품은 원래 1989년에 출간된 미국의 종합예술가인 리처드 맥과이어의 만화 혹은 삽화를 기본으로 구성된 작품입니다. 그런데 이 작품, 여러모로 꽤 흥미로운 작품인 면이 있습니다.
코믹스 예술로 인정받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코믹스, 혹은 만화라는 작품은 작품성에 대해 평가를 받기보다는 흥행여부와 재미로 평가를 받는 장르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 코믹스에 대한 관점이 조금 다르고, 이런 형태의 작품 역시 클래식 예술 작품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평가를 받는 하나의 예술 장르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 이 작품 리차드 맥과이어의 <Here>가 있습니다.
6페이지의 코믹스, 왜 예술일까?
리처드 맥과이어의 <Here>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코믹스 작품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코믹스는 일정한 스토리를 가지고 해당 스토리에 맞춰 인물의 배경과 등장인물, 사건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게 마련입니다.
사실 형식만을 따지자면 지면으로 옮겨지는 드라마에 가까운 것이 바로 코믹스.
이런 특징 때문에 코믹스로 인기를 끌게 되는 작품들은 이후 실사화가 진행되어 영화나 드라마로 작품의 형태를 변화하기도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이 작품 <Here>는 이런 일반적인 흐름의 코믹스 작품과는 조금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여러 일들을 보여주는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에서 그리는 스토리는, 인물이나 사건을 따라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제목 그대로의 <Here>.
호 로지 이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벌어지는 여러 사건들을 보여주는 구성으로 진행됩니다.
화려한 카메라 워킹이나 스토리에 따른 화면의 구성이 아니라 오로지 어떤 장소에서 벌어지는 여러 이야기를 보여줌으로써 공간이 가지는 힘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코믹이라는 작품의 새로운 지평을 연 명작으로 평가받았던 작품
이 작품이 바로 영화 <HERE>로 태어납니다.
여러모로 관심이 가는 작품
한 공간에서 벌어지는 여러 시간의 풍경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주인공인 톰행크스와 로빈 라이트는 젊은 모습부터 나이 든 노년의 모습까지를 모두 보여주게 됩니다.
이미 노년에 접어든 두 배우의 젊은 시절의 모습은 Ai기술을 통해 구현되었다고 하는데 티저 영상을 통해 만나게 되는 이 젊은 모습들은 우리가 영화 속에서 기억하게 되는 두 배우의 젊은 모습을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되는 매우 뛰어난 영상미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아주 오래된 코믹스를 모티브로 하는 최신 기술과의 조합이라는 점에서도 이 작품의 감상포인트를 여러가지로 잡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4.05.26 - [먹고 노는 이야기] - 웹툰 ⟪조명가게⟫ - 디즈니플러스 조명가게의 원작 등장인물과 배역은?
웹툰 ⟪조명가게⟫ - 디즈니플러스 조명가게의 원작 등장인물과 배역은?
웹툰 조명가게는 디즈니플러스에서 2024년에 촬영을 마치고 공개를 기다리고 있는 또 하나의 웹툰 원작 드라마입니다. 이 작품의 원작자는 웹툰계에서 엄청난 지명도를 자랑하는 강풀작가, 디즈
sometimesjustplay.tistory.com
2024.05.27 - [먹고 노는 이야기] - 드라마 ⟪내가 죽기 일주일 전⟫ - 원작 소설의 결말은?
드라마 ⟪내가 죽기 일주일 전⟫ - 원작 소설의 결말은?
어쩐지 기욤 뷔소의 소설 ⟪구해줘⟫를 연상시키는 분위기의 표지를 가지고 있는 이 소설,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은 의외로 국내 작가의 작품으로 2018년 발간되어 꽤 인기를 모았던 작품이기
sometimesjustpla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