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류홍주는 왜 수리부엉이일까? 구미호뎐1938 ep.1

by 팅팅가팅가 2023. 5. 14.
반응형

구미호뎐 1938의 새로운 등장인물 중에는 전직 서쪽산신이었던 수리부엉이 류홍주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여러 전설이 서린 동물들을 산신으로 설정한 이 드라마에서 왜 하필 류홍주는 수리부엉이였을까요?

섬네일

1. 야생의 제왕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올 빼 미과에 속하는 새로 보통 한국과 중국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일대, 러시아 남부, 중앙아시아, 유럽에 이르기까지 서식지역이 꽤 넓은 동물에 속합니다. 보통 귀엽고 작은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다른 새들에 비해 수리부엉이는 맹금류로 분류되는데 맹금류에 속하는 새들의 특징은 바로 엄청나게 사나운 공격성을 가지는 것, 언뜻 애벌레나 좀 잡아먹고 말 것처럼 생긴 수리부엉이 역시 육식을 하는 조류에 속하며 그 방법도 매우 사나워서 발톱을 이용하여 사냥한 후 찢어서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맹금류로 분류되는 새들은 새들 중에서도 맹수에 속한다고 볼 수 수 있습니다.

 

류홍주02

 

2.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서식범위는 넓지만 개체수는 그리 많지 않은 종류도로 알려져 있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자주 보기 힘든 흔하지 않은 텃새로 2급 멸종위기종이면서 동시에 천연기념물입니다. 깊은 숲이나 산림, 바위산이나 절벽 등지에 둥지를 트는 습성 때문에 존재한다고 해도 실제 목격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또 수리부엉이가 작거나 눈에 띄지 않는 종의 새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일단 나타나기만 하면 절대 숨을 수 없는 위풍을 자랑하는 종류의 새로 키는 보통 70cm 내외, 날개를 펴면 거의 2미터에 가까운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막 태어난 신생아의 키가 50cm 정도인 것을 생각해 보면 어마무시한 크기 실제로 올빼미 부엉이 종 중에서 수리부엉이는 크기로는 최대크기에 가깝습니다.

 

류홍주03

 

3. 밤을 지배하는 새

해리포터에 나올 것 같은 귀여운 외모와는 상반되는 야생성은 수리부엉이의 가장 큰 특징으로도 꼽히는데 특히 야간에는 자신보다 덩치가 큰 검독수리도 수리부엉이에게는 이기기 힘들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로 사실상 국내에서는 야생의 제왕 혹은 밤의 제왕이라는 이야기가 거의 맞아떨어지는 대상이기도 합니다.

 

류홍주04

 

4. 류홍주는 왜 수리부엉이인가.

구미호뎐 1938에서는 수리부엉이의 귀여운 외모와 그와는 상반되는 어마무시한 전투력을 류홍주라는 캐릭터에게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 그녀가 수리부엉이라는 설정을 더하고 있습니다. 실제 이 드라마에서 류홍주는 '예쁜데 싸움 잘하는 년'으로 스스로를 평가하는데 수리부엉이가 딱 그렇습니다. 여기에 산신이라는 판타지적 요소가 더해지면서 예쁜데 싸움만 잘하는 정도가 아니라 주로 동물이 현신한 4대 산신가운데에서도 힘이 가장 세다는 부연설명이 붙습니다.

 

그나저나 구미호뎐1938에서 북쪽산신과 서쪽산신까지 출연했으니 이제 남은 것은 남쪽 산신이려나요? 아님 동쪽 산신이려나요? 남은 산신들을 위해서라도 시즌3가 벌써 기대되는 구미호뎐 1938입니다.

반응형

댓글